$ \def\mark{\rlap{\normalsize\textstyle |}\kern 1px} $

MathJax에서 유용한 $\rm\TeX$ 명령어를 위한 구문론

다음 구문론은 MathJax에서 유용한 TeX 명령어에서 사용된다:

디멘젼 단위(DIMENSION UNITS):

em 상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
현재 글꼴에서 대략 대문자 ‘M’ 의 너비 $1\text{ em}$ 간격:
$\mark\hskip1em\mark\hskip 1em\mark\ $ 작은 글꼴에서 M 과 비교
$\mark\hskip1em\mark\hskip 1em\mark\ $ 중간 글꼴에서 M 과 비교
$\mark\hskip1em\mark\hskip 1em\mark\ $ 큰 글꼴에서 M 과 비교
${\scriptstyle\mark\hskip1em\mark\hskip 1em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1em\mark\hskip 1em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ex 상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
$1\text{ ex} = 0.43\text{ em}$

현재 글꼴에서 대략 소문자 ‘x’ 의 높이;
소문자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준다
$1\text{ ex}$ 간격:
$\mark\hskip1ex\mark\hskip 1ex\mark\ $ 작은 글꼴에서 x 와 비교
$\mark\hskip1ex\mark\hskip 1ex\mark\ $ 중간 글꼴에서 x 와 비교
$\mark\hskip1ex\mark\hskip 1ex\mark\ $ 큰 글꼴에서 x 와 비교
${\scriptstyle\mark\hskip1ex\mark\hskip 1ex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1ex\mark\hskip 1ex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pt point

상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;
위첨자 레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
$1\text{ pt} = \frac{1}{10}\text{em}$ $10\text{ pt}$ ($1\text{ em}$) 간격:
$\mark\hskip 10pt\mark\hskip 10pt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 10pt\mark\hskip 10pt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 10pt\mark\hskip 10pt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 10pt\mark\hskip 10pt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 10pt\mark\hskip 10pt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pc pica

상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;
위첨자 레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
$1\text{ pc} = 12\text{ pt}$ $1\text{ pc}$ 간격:
$\mark\hskip 1pc\mark\hskip 1pc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 1pc\mark\hskip 1pc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 1pc\mark\hskip 1pc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 1pc\mark\hskip 1pc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 1pc\mark\hskip 1pc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mu 상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;
위첨자 레벨과 함께 변한다
$1\text{ mu} = \frac{1}{18}\text{em}$ $18\text{ mu}$ ($1\text{ em}$) 간격:
$\mark\hskip 18mu\mark\hskip 18mu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 18mu\mark\hskip 18mu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 18mu\mark\hskip 18mu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 18mu\mark\hskip 18mu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 18mu\mark\hskip 18mu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cm
mm
centimeter
millimeter

절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되지 않는다
$10\text{ mm} = 1\text{ cm}$ $1\text{ cm}$ ($\,10\text{ mm}\,$) 간격:
$\mark\hskip1cm\mark\hskip 1cm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1cm\mark\hskip 1cm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1cm\mark\hskip 1cm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1cm\mark\hskip 1cm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1cm\mark\hskip 1cm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in inch

절대 측정;
현재 글꼴에 종속되지 않는다
$1\text{ in} = 2.54\text{ cm}$ $1\text{ in}$ 간격:
$\mark\hskip1in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1in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1in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1in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1in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px 화면 pixel $10\text{ px}$ 화면에서의 간격:
$\mark\hskip10px\mark\hskip 10px\mark\ $ 작은 글꼴에서
$\mark\hskip10px\mark\hskip 10px\mark\ $ 중간 글꼴에서
$\mark\hskip10px\mark\hskip 10px\mark\ $ 큰 글꼴에서
${\scriptstyle\mark\hskip10px\mark\hskip 10px\mark}\ $ 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${\scriptscriptstyle\mark\hskip10px\mark\hskip 10px\mark}\ $ 스크립트스크립트 스타일에서 (중간 글꼴)


다양한 크기의 구분자(VARIABLE-SIZED DELIMITERS)

 \left ,  \right  와 함께 사용될 때, 이 기호들은 포함된 수식의 높이 만큼 늘어난다.
이것들은 또한 고정된 높이의 큰 구분자를 만들기 위해 \Bigg, \bigg, \Big, \big (또는, left/right/middle 버전)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.
각각의 크기는 아래에 묘사된다:   normal,  \big,  \Big,  \bigg,  \Bigg
(

class OPEN
$(\ \ \big(\ \ \Big(\ \ \bigg(\ \ \Bigg( $ )

class CLOSE
$)\ \ \big)\ \ \Big)\ \ \bigg)\ \ \Bigg) $
\lgroup

class OPEN
$\lgroup\ \ \big\lgroup\ \ \Big\lgroup\ \ \bigg\lgroup\ \ \Bigg\lgroup $ \rgroup

class CLOSE
$\rgroup\ \ \big\rgroup\ \ \Big\rgroup\ \ \bigg\rgroup\ \ \Bigg\rgroup $
[

class OPEN
$[\ \ \big[\ \ \Big[\ \ \bigg[\ \ \Bigg[ $ ]

class CLOSE
$]\ \ \big]\ \ \Big]\ \ \bigg]\ \ \Bigg] $
\{

class OPEN
$\{\ \ \big\{\ \ \Big\{\ \ \bigg\{\ \ \Bigg\{ $ \}

class CLOSE
$\}\ \ \big\}\ \ \Big\}\ \ \bigg\}\ \ \Bigg\} $
\uparrow

class REL
$\uparrow\ \ \big\uparrow\ \ \Big\uparrow\ \ \bigg\uparrow\ \ \Bigg\uparrow $ \Uparrow

class REL
$\Uparrow\ \ \big\Uparrow\ \ \Big\Uparrow\ \ \bigg\Uparrow\ \ \Bigg\Uparrow $
\downarrow

class REL
$\downarrow\ \ \big\downarrow\ \ \Big\downarrow\ \ \bigg\downarrow\ \ \Bigg\downarrow $ \Downarrow

class REL
$\Downarrow\ \ \big\Downarrow\ \ \Big\Downarrow\ \ \bigg\Downarrow\ \ \Bigg\Downarrow $
\updownarrow

class REL
$\updownarrow\ \ \big\updownarrow\ \ \Big\updownarrow\ \ \bigg\updownarrow\ \ \Bigg\updownarrow $ \Updownarrow

class REL
$\Updownarrow\ \ \big\Updownarrow\ \ \Big\Updownarrow\ \ \bigg\Updownarrow\ \ \Bigg\Updownarrow $
\langle

class OPEN
$\langle\ \ \big\langle\ \ \Big\langle\ \ \bigg\langle\ \ \Bigg\langle $ \rangle

class CLOSE
$\rangle\ \ \big\rangle\ \ \Big\rangle\ \ \bigg\rangle\ \ \Bigg\rangle $
<

class REL
$<\ \ \big<\ \ \Big<\ \ \bigg<\ \ \Bigg< $ >

class REL
$>\ \ \big>\ \ \Big>\ \ \bigg>\ \ \Bigg> $
|  또는  \vert

class ORD
$|\ \ \big|\ \ \Big|\ \ \bigg|\ \ \Bigg| $ \|  또는  \Vert

class ORD
$\|\ \ \big\|\ \ \Big\|\ \ \bigg\|\ \ \Bigg\| $
\arrowvert

class ORD
$\arrowvert\ \ \big\arrowvert\ \ \Big\arrowvert\ \ \bigg\arrowvert\ \ \Bigg\arrowvert $ \Arrowvert

class PUNCT
$\Arrowvert\ \ \big\Arrowvert\ \ \Big\Arrowvert\ \ \bigg\Arrowvert\ \ \Bigg\Arrowvert $
\bracevert

class ORD
$\bracevert\ \ \big\bracevert\ \ \Big\bracevert\ \ \bigg\bracevert\ \ \Bigg\bracevert $    
\lceil

class OPEN
$\lceil\ \ \big\lceil\ \ \Big\lceil\ \ \bigg\lceil\ \ \Bigg\lceil $ \rceil

class CLOSE
$\rceil\ \ \big\rceil\ \ \Big\rceil\ \ \bigg\rceil\ \ \Bigg\rceil $
\lfloor

class OPEN
$\lfloor\ \ \big\lfloor\ \ \Big\lfloor\ \ \bigg\lfloor\ \ \Bigg\lfloor $ \rfloor

class CLOSE
$\rfloor\ \ \big\rfloor\ \ \Big\rfloor\ \ \bigg\rfloor\ \ \Bigg\rfloor $
/

class ORD
$/\ \ \big/\ \ \Big/\ \ \bigg/\ \ \Bigg/ $ \backslash

class ORD
$\backslash\ \ \big\backslash\ \ \Big\backslash\ \ \bigg\backslash\ \ \Bigg\backslash $
\lmoustache

class OPEN
$\lmoustache\ \ \big\lmoustache\ \ \Big\lmoustache\ \ \bigg\lmoustache\ \ \Bigg\lmoustache $ \rmoustache

class CLOSE
$\rmoustache\ \ \big\rmoustache\ \ \Big\rmoustache\ \ \bigg\rmoustache\ \ \Bigg\rmoustache $


큰 연산자(BIG OPERATORS)

이 연산자들의 일부는 (표에 나타낸 것처럼),  \limits  와  \nolimits 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본 범위 위치가 바뀌어질 수 있다.
이 두 명령어는 적용될 기본 기호 뒤에 즉시 나타나야 한다. 예를 들어 비교하면:
\coprod_{i=1}^n
(인라인 모드)
\coprod\limits_{i=1}^n
(인라인 모드)
\coprod_{i=1}^n
(디스플레이 모드)
\coprod\nolimits_{i=1}^n
(디스플레이 모드)
$\coprod_{i=1}^n$ $\coprod\limits_{i=1}^n$ $\displaystyle\coprod_{i=1}^n$ $\displaystyle\coprod\nolimits_{i=1}^n$
연산자 이름 기본 인라인 모드 동작 \limits  사용 인라인 기본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 \no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(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)
\arccos, \arcsin, \arctan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arccos_{\rm sub}^{\rm sup}$ $\arccos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arccos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arccos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arg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arg_{\rm sub}^{\rm sup}$ $\arg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arg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arg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bigcap, \bigcup

둘 다 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bigcap_{\rm sub}^{\rm sup}$ $\bigcap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cap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cap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bigodot, \bigoplus, \bigotimes

모두 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bigodot_{\rm sub}^{\rm sup}$ $\bigodot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odot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odot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bigsqcup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bigsqcup_{\rm sub}^{\rm sup}$ $\bigsqcup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sqcup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sqcup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biguplus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biguplus_{\rm sub}^{\rm sup}$ $\biguplus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uplu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uplus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bigvee, \bigwedge

둘 다 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bigvee_{\rm sub}^{\rm sup}$ $\bigvee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vee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bigvee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coprod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coprod_{\rm sub}^{\rm sup}$ $\coprod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coprod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coprod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cos, \sin, \tan, \sec, \cot, \csc
\cosh, \sinh, \tanh, \coth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cos_{\rm sub}^{\rm sup}$ $\cos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cos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cos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deg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deg_{\rm sub}^{\rm sup}$ $\deg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deg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deg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det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det_{\rm sub}^{\rm sup}$ $\det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det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det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dim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dim_{\rm sub}^{\rm sup}$ $\di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dim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dim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exp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exp_{\rm sub}^{\rm sup}$ $\exp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exp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exp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gcd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gcd_{\rm sub}^{\rm sup}$ $\gcd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gcd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gcd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hom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hom_{\rm sub}^{\rm sup}$ $\ho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hom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hom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idotsint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idotsint_{\rm sub}^{\rm sup}$ $\idots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dotsint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idots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iiiint, \iiint, \iint, \int

모두 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;
\iint 를 사용한 일반적인 동작이 여기 묘사된다
$\iint_{\rm sub}^{\rm sup}$ $\i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int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i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intop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intop_{\rm sub}^{\rm sup}$ $\intop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top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top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inf, \sup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inf_{\rm sub}^{\rm sup}$ $\inf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f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f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injlim, \varinjlim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injlim_{\rm sub}^{\rm sup}$ $\injli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jlim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injlim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ker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ker_{\rm sub}^{\rm sup}$ $\ker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ker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ker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lg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lg_{\rm sub}^{\rm sup}$ $\lg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lg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lg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lim, \liminf, \limsup, \varliminf, \varlimsup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lim_{\rm sub}^{\rm sup}$ $\li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lim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lim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ln, \log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인라인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기본 범위 위치는 같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ln_{\rm sub}^{\rm sup}$ $\ln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ln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ln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max, \min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max_{\rm sub}^{\rm sup}$ $\max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max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max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oint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oint_{\rm sub}^{\rm sup}$ $\o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oint_{\rm sub}^{\rm sup}$ \limits 사용 디스플레이

$\displaystyle\oint\limits_{\rm sub}^{\rm sup}$
\Pr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Pr_{\rm sub}^{\rm sup}$ $\Pr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prod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prod_{\rm sub}^{\rm sup}$ $\prod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od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od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projlim, \varprojlim

크기는 변하지 않는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projlim_{\rm sub}^{\rm sup}$ $\projli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ojlim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projlim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
\sum

크기가 변한다;
\limits  와  \nolimits  를 사용하여 범위 위치를 바꿀 수 있다
$\sum_{\rm sub}^{\rm sup}$ $\sum\limits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sum_{\rm sub}^{\rm sup}$ $\displaystyle\sum\nolimits_{\rm sub}^{\rm sup}$